서울시의 식생활∙영양 정책 및 사업을 소개합니다.
사업명 | 서울시 당류 저감화 사업 |
---|---|
부서 | 식품정책과 |
문의 | 02-2133-4740 |
서울시민 맞춤형 당류 저감 사업을 실시하여 건강한 식습관 환경을 조성하고,
비만, 당뇨병 등 ‘생활습관병’ 발생을 예방하고자 함
1. 사업개요
□ 추진근거
○ 식품위생법 제70조의7(건강 위해가능 영양성분 관리)
○ 관련방침
- 나트륨·당류 저감화 추진 방안(식품의약품안전처, ’21.2.9.)
□ 추진배경
○ 세계보건기구(WHO)는 식품과 음료류에 당류 첨가 줄일 것을 권고
- 당류 섭취가 증가할수록 체중이 증가하고 충치와 같은 질병위험이 높아짐.
구 분 |
당류 섭취 기준 |
한국 |
<보건복지부, 2020> - 총당류 섭취량은 1일 열량의 10~20%(2,000kcal 기준 100g) - 첨가당 섭취량은 1일 열량의 10% 이내(2,000kcal 기준 50g) <식품의약품안전처 목표, 2021> 가공시품을 통한 당류(첨가당) 섭취량은 1일 열량의 10% 이내(2,000kcal 기준 50g) |
WHO(2015) |
- free sugar로 1일 열량의 10% 미만(2,000kcal 기준 50g 미만) - 회원국의 상황에 따라 5%이내로 줄일 것을 추가 제안 |
○ 서울 시민 당류 섭취량은 최근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관리 필요
- 서울시 첨가당 기준 초과 섭취 인구비율은 22.8%, 특히 청소년·청년(10~20대)에서 30∼40%로 높았음
(서울시민 당류 섭취 저감화 정책개발, 서울특별시, 2020)
‣ 서울시민 당류1일평균 섭취량: 68.9g(’16년)→66.8g(’17년)→61.3g(’18년)→61.6g(’19년)
※ 서울시민 첨가당 평균 섭취량은 1일 열량의 10% 이내로 유지되고 있음
: 만6~8세 37.8g, 만9~11세 48.1g, 만12~14세 44.6g,
만15~18세 48.0g, 만19~29세 49.6g, 만30~49세 40.2g(’21년)
○ 식품 소비자는 당류 섭취 저감 필요성은 공감하나, 식습관 개선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낮아
시민 인식개선 및 환경조성 필요
‣ 당류 섭취 저감 필요성 인식(%): 78.5 / 당류 섭취 저감 실천노력(%): 43.5(`20, 식약처)
2. 23년 추진 방향
① 서울시민 당류 적정 섭취 유도를 위한 세부 목표 설정
○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통계자료 활용 관련수치 도출 및 서울시 당류 저감 목표 설정
‣ 서울시민 1일 평균 총당류·첨가당 섭취량 ‣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
② 서울시민 당류 섭취 저감 인식개선 추진
○ 당류 섭취 고위험군 ‘청소년·청년’ 집중 당류 저감 인식개선 추진
○ 서울시민 능동적 참여를 통한 건강 식생활 개선 추진(당류 줄이기 포함)
‣ 건강 식생활 코너 상시 운영‘나도 식생활 전문가(가제)’운영
※「손목닥터9988」연계 추진 예정
○ 당류 줄이기 실천 영상물을 활용한 ‘자치구 연계’ 대시민 캠페인 실시
③ 고위험 집단 주요 생활터 적극 개입을 통한 당류 섭취 저감 환경 조성
○ 어린이 대상 당류 저감 교구 개발·보급
‣ 현장 활용 용이하고 효과적인 동영상, 활동지 등
○ 청소년 이용시설 대상 고열량·저영양 음료 판매자제 권고 지속
④ 서울시민 당류 섭취 저감 교육·홍보
○〔자치구 식품위생분야 종합평가지표〕에 ‘당류 섭취 저감 교육 실적
및 홍보영상 표출 여부’를 신규 편성하여 자치구와 함께 시민 교육·홍보 확대 추진
‣ 당류 줄이기 영상물 및 교육자료 자치구 배포하여 시민 교육 실시
○ 체험교육용 당류저감 메뉴 개발·활용 유아기관 방문 교육 실시
◈ 보도계획: 연간 3회(당류저감 인식개선 관련 등)
3. 세부 추진 계획
1) 서울시민 당류 적정 섭취 유도를 위한 세부 목표 설정 |
□ 서울시민 당류 섭취 실태 모니터링 및 식생활 개선 교육·홍보자료 개발·보급
○ 추진기간: 4 ~ 10월
○ 목 적
- 서울시민 당류 적정 섭취 유도를 위한 세부 목표 설정
- 자치구 등 유관기관 식생활 개선 교육·홍보자료 개발·보급
※ 자치구 식품위생분야 종합평가지표에 ‘당류 섭취 저감 교육 실적
및 홍보영상 표출 여부’를 신규 지정함에 따라 자치구로부터 교육·홍보자료 제공 요청이 있었음.
○ 내 용
- 국민건강영양조사 등 통계자료로부터 당류 관련 통계수치 도출 및 서울시 당류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한
세부 목표 설정
(예시)‣ 서울시민 1일 총당류·첨가당 평균 섭취량
‣ 서울시민 1일 총당류·첨가당 섭취기준 초과섭취 분율
‣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
‣ 가공식품 중 음료류 섭취량 ‣ 청소년·청년 음료류 섭취 비율
- 대상 맞춤형 식생활 개선 교육·홍보자료를 개발하고 자치구, 교육기관 등 유관기관에 보급하여
당류 저감 환경을 조성
2) 서울시민 당류 섭취 저감 인식개선 |
□ 목적: 서울시민 당류 섭취 저감 인식개선
□ 추진 시기: 4월 ~ 11월
□ 추진 내용
○ 당류 섭취 고위험군 ‘청소년·청년’ 집중 당류 저감 인식개선 추진
- 제목: 소중한 나를 위한 ‘건강 식생활’
- 내용: 2022년 실시한 「‘청소년·청년’ 식생태 조사 및 건강 식생활 가이드 개발」 결과물 활용하여
온·오프라인 홍보 및 참여형 캠페인 추진
○「손목닥터9988」연계 참여형 당류 저감 인식개선 추진
- 제목: 건강 식생활 코너 상시 운영 ‘나도 식생활 전문가(가제)’
→ 건강 식생활 퀴즈 코너 ‘나의 밥친구(가제)’ 및 식품 영양표시 속 당류 확인 습관 장착
#영양표시 숨바꼭질(가제)
- 목적: 감당 챌린지 참여로 시민의 일상적인 감당 실천 습관 정착
- 내용: 정해진 기간 내「손목닥터9988」앱을 통한 이벤트 참여 또는 「손목닥터9988」앱을 통한 홍보로
참여자를 모집하여 개인 인스타그램 등 SNS 활용한 챌린지 참여
< 건강 식생활 상시 코너 ‘나도 식생활 전문가(가제)’> ◈ 나의 밥친구(가제) : 「손목닥터9988」앱의 ‘건강카드’ 코너 활용하여 진행 예정 - 3~5회로 편성한 기획 코너로 준비 - 카드뉴스-퀴즈-다짐(댓글 형태로 ‘당류 저감 행동 지침’ 작성)으로 구성 - 서울시민이 알아야 할 건강 식생활 정보를 전달하여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고자 함. ◈ 챌린지 이벤트 #영양표시 숩바꼭질 ① 이벤트 참여자는 카드뉴스 또는 동영상 등을 통해 당류 저감 관련 정보 습득 ※ WHO: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(첨가당)을 1일 섭취 열량의 10%(성인 50g)로 권고 ② 가공식품(의무표시) 또는 자율표시제로 운영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카페 음료의 숨어있는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사진으로 찍어 개인 인스타그램 또는 손목닥터9988 앱을 통해 사진을 업로드 ③ ‘당류를 줄이기 위한 나의 노력’기록 -‘당류 저감 행동 지침’ 예시에서 내가 지킬 수 있는 지침 선택하여 작성 가능 ④ 지정 해시테그 삽입: #서울특별시 당류 줄이기 #감당 참여 #영양표시 숨바꼭질(예정) ⑤ 과정 수행 완료시 포인트 또는 상품 지급(상품 지급시 추첨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.)
|
○ 당류 줄이기 실천 동영상 제작·활용한 대시민 감당 캠페인 실시
< 당류 줄이기 실천 동영상> |
- 제목: ‘우리 함께 감당(당류 줄이기)해요’ (가제)
- 목적: 당류 섭취 저감에 대한 인식기회 마련 및 실생활 속 당류 줄이기 실천
- 내용: 실천 가능한 당류 줄이기 행동 지침, 실천 팁 등 당류 섭취 저감 실천에 도움이 되는 동영상을 제작하여 홍보
- 홍보계획: 서울시 및 자치구 영상매체 활용 표출, 유튜브 광고, 손목닥터9988 및 SNS를 통한 배포·확산